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i 스타트업 비용
- 금리
- 내집마련지원제도
- Ai
- 자세 불균형
- 식량 대책
- 한국 쌀 프리미엄
- 자영업 대출 부담
- 퇴행성측만증
- 일본 쌀값
- 휘어진 척추
- 국가채무 #환율폭등 #외환위기 #재정준칙 #한국경제위기 #신용등급 #세수펑크 #imf데자뷰 #2025경제전망 #나라빚
- 트럼프 정책
- ai 운영 비용
- ai 비용 문제
- 멀티 클라우드 전략
- 공공지분투자
- 전기차
- 환율
- 꿈해몽
- 쌀 생산
- 경량화 ai
- 테슬라
- 온프레미스 서버
- 트럼프
- 빈혈약 추천
- 테슬라 주가
- 낯선 곳 여행 꿈
- 자영업 생존 전략
- 알레스카 lng 투자
- Today
- Total
지식 큐레이션
2024년 10년만에 결혼 증가? 본문
결혼이 다시 늘어난다? 10년 만의 반등
최근 몇 년간 한국 사회에서 결혼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였다. 하지만 작년에 22만 2,000쌍이 결혼을 했다고 한다.이는 2023년과 비교했을 때 14.8% 증가하며 10년 만에 가장 큰 폭의 반등을 보였다.
갑자기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건 단순한 일시적 현상일까, 아니면 장기적인 결혼 증가의 신호일까? 이번 글에서는 최근 결혼 증가의 원인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전망까지 살펴보자.
1. 10년간 결혼 건수 변화 분석
지난 10년간 결혼 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특히나 코로나19 팬데믹(2020~2022년) 시기에는 결혼 건수가 20만 건 이하로 떨어지며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 최근 10년간 혼인 건수 변화
연도결혼 건수 (만 건)증감률 (%)
2014 | 30.5 | - |
2015 | 30.3 | -0.7% |
2016 | 28.2 | -6.9% |
2017 | 26.4 | -6.4% |
2018 | 25.7 | -2.7% |
2019 | 23.9 | -7.0% |
2020 | 21.4 | -10.5% |
2021 | 19.3 | -9.8% |
2022 | 19.4 | +0.5% |
2023 | 22.2 | +14.8% |
🔍 분석
- 2014년 이후 결혼 건수는 매년 감소세를 보였다.
- 2020~2022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최저점을 기록.
- 2023년 들어 10년 만에 첫 반등(14.8%), 5년 만에 최고치.
그렇다면, 2023년부터 결혼이 다시 증가한 이유는 무엇일까?
2. 2023년 결혼 증가의 5가지 주요 원인
✅ 1) 코로나19 팬데믹 기저효과
2020~2022년 동안 사회적 거리두기와 경제적인 이유로 많은 커플이 결혼을 미뤘다. 그러나 2023년 들어 방역 규제가 완화되면서 그동안 미뤄왔던 결혼이 한꺼번에 진행되며 수치가 급등했다.
✅ 2)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
최근 설문 조사에서 "결혼을 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52.5%로 2022년(50%) 대비 2.5%p 증가했다. 이는 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이 조금 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 3) 결혼 적령기 인구 증가 (30대 초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결혼한 남성의 평균 33.9세, 여성은 31.6세였다. 30대 초반 인구가 일시적으로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결혼 건수도 함께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 4) 정부의 결혼·출산 장려 정책
정부는 최근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 지원 정책과 경제적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 신혼부부 특별 공급 확대
- 저금리 신혼부부 대출 지원
- 출산 및 육아 지원금 증대
이러한 정책적 지원이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5) 국제결혼 증가
2023년 외국인과의 혼인 건수는 전년 대비 5.3% 증가하며 2만 1,000건을 기록했다. 특히 베트남, 중국, 태국 국적의 배우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전체 결혼 건수도 함께 상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3. 2025년 결혼 건수 전망
2025년에도 결혼 증가세가 지속될까?
✔ 긍정적 요인
- 코로나 이후 연기된 결혼이 여전히 진행 중
- 정부의 결혼 장려 정책 확대
- 30대 초반 인구의 결혼 수요 지속
❌ 부정적 요인
- 전체 인구 감소 및 출생아 수 감소 → 30대 초반 인구도 곧 줄어들 가능성
- 결혼보다는 비혼·동거를 선호하는 젊은 층 증가
즉,최근 결혼 증가율은 반가운 소식이긴 하나 장기적으로는 다시 감소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4. 결론: 결혼은 다시 증가할까?
결혼 증가율은 우리나라 인구소멸을 줄일 수 있는 기회이며 경제 활성화와 노인층 인구 부담 완화, 사회 안정성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만 비혼, 동거 문화가 확산되면서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한 결혼이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다. 앞으로 결혼을 둘러싼 사회적·경제적 변화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고 제도적 지원이 꾸준히 필요하다 할 수 있다.
'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남 3구 아파트값, 다시 떨어지려나?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것은?" (2) | 2025.03.24 |
---|---|
"한국 여행, 쉽게 가자! 중국 단체관광객 한시적 비자 면제 실시" (2) | 2025.03.21 |
유럽 경제, 끝없는 혼란과 정치 불안정이 불러온 위기와 기회 (1) | 2025.03.19 |
"부동산 PF 대출 부실 폭탄! 상호금융권 위기 경고, 내 예금은 안전할까?" (0) | 2025.03.17 |
고금리 시대, 원금상환유예 제도의 숨겨진 함정은? (0)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