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배달 수수료 문제
- ai 스타트업 비용
- 공공지분투자
- 자영업 대출 부담
- 경량화 ai
- 금리
- 자영업 고정비
- 국가채무 #환율폭등 #외환위기 #재정준칙 #한국경제위기 #신용등급 #세수펑크 #imf데자뷰 #2025경제전망 #나라빚
- 낯선 곳 여행 꿈
- Ai
- 카페 운영 비용
- 트럼프 정책
- 자영업 생존 전략
- 테슬라 주가
- 트럼프
- 식량 대책
- 환율
- 빈혈약 추천
- 일본 쌀값
- 멀티 클라우드 전략
- ai 비용 문제
- 꿈해몽
- ai 운영 비용
- 내집마련지원제도
- 한국 쌀 프리미엄
- 온프레미스 서버
- 테슬라
- 전기차
- 쌀 생산
- 알레스카 lng 투자
- Today
- Total
지식 큐레이션
서울시 청년이라면 중개비&이사비 지원받으세요! 본문
서울시 청년이라면 주목! 부동산 중개비 & 이사비 최대 40만원 지원받는 방법
최근 서울집값이 너무 많이 올라 청년들이 자금 부담으로 힘들어하는데 이에 서울에 거주하는 청년들에게 이사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가 있어서 소개 해 드립니다. 서울시가 올해도 무주택 청년을 대상으로 부동산 중개보수와 이사비를 지원하는 정책인데요 올해부터는 지원 대상이 확대되고, 예산도 늘어나 더 많은 청년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신청 방법과 조건을 함께 살펴볼까요?
🔹 지원 대상은 누구?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9~39세 무주택 청년이라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몇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 2023년 1월 1일 이후 서울로 전입했거나, 서울 내에서 이사를 한 경우
- 가구당 중위소득 150% 이하 (예: 1인 가구 기준 세전 358만 9000원)
- 거래금액 2억 원 이하 주택 거주자
- 주민등록등본상 세대주와 임대차계약서의 임차인이 신청자 본인이어야 함
❌ 제외 대상
- 주택 보유자
- 다른 기관(중앙부처, 지자체)에서 동일 지원을 받은 경우
- 부모 소유 주택을 임차한 경우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중 생계·의료·주거급여 수급권자
🔹 2024년부터 달라진 점
이번 지원 정책에서 가장 큰 변화는 기존의 대상보다 지원 대상 확대입니다. 주거 환경이 열악한 청년들이 빠르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기준이 완화되었습니다.
✅ 우선 지원 대상
- 전세사기 피해 청년 (피해자로 인정된 경우 포함)
- 가족돌봄청년 (가족을 부양하는 청년)
- 청소년 부모 (청소년기에 자녀를 둔 부모)
- 자립준비청년 (보호 종료 후 5년 → 만 39세까지 확대)
- 사회적 약자 (장애인, 한부모 가족, 다문화 가정, 북한이탈주민, 국가보훈대상자 등)
- 주거 취약 청년 (반지하, 옥탑방, 고시원 거주자)
💡 작년 기준으로 우선 선발된 청년 중 85%가 반지하·옥탑방·고시원 거주자였습니다. 이번 지원으로 더 많은 청년이 안전한 주거 환경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얼마나 지원받을 수 있을까?
1인당 최대 4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지난해 평균 지원 금액이 약 30만 원이었는데, 올해는 지원 규모를 1만 명까지 확대해 더 많은 청년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지원금 항목
- 부동산 중개보수: 공인중개사에게 지급한 수수료
- 이사비: 포장이사, 일반이사 등 실제 이사 비용
📢 참고: 중개보수와 이사비를 둘 다 신청할 수도 있고, 하나만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 신청 방법 및 일정
올해 모집은 상반기(4월) 6000명, 하반기(8월) 4000명으로 진행됩니다.
📅 신청 기간
- 2025년 4월 1일(오전 10시) ~ 4월 14일(오후 6시)
📌 신청 방법
|
🔹 선정 기준
지원 요건을 충족하는 신청자가 모집 인원을 초과하면 우선 지원 대상 → 소득이 낮은 순서로 선정됩니다.
선정 절차
- 서류 심사 및 자격 검토 (6월 중 적격자 발표)
- 이의 신청 및 서류 보완 (10일간 진행)
- 최종 선정 후 지원금 지급
🔹 서울 청년들이 실제로 얼마나 신청했을까?
지난해 총 2만 6578명이 신청해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지원을 받은 8533명 중 1260명(14.8%)이 우선 지원 대상이었습니다. 특히 70.4%가 20대였으며, 여성 신청자가 67.5%로 많았습니다.
📍 자치구별 신청 비율
- 관악구: 16.7% (신청자 수 가장 많음)
- 중구: 1.2% (신청자 수 가장 적음)
- 거주 형태: 원룸(69%), 단독·다가구(37.5%)
💡 서울 청년이라면 꼭 챙기세요!
경제가 어렵고 취업도 힘든 요즘 이사까지 하면서 돈도 많이 들고, 중개보수도 부담이 될 수밖에 없죠. 이에 서울시에서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돕기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을 확대하고 있으니 이번 기회를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해서 혜택을 받으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청년몽땅 정보통 Q&A 게시판이나 **콜센터(☎ 1877-9358)**에 문의하세요. 😊
'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의 새 관세 정책… 한국 수출 기업들, 위기인가 기회인가? (1) | 2025.04.03 |
---|---|
정년 연장,과연 필요할까? (3) | 2025.04.02 |
사상 최악의 산불 피해 (0) | 2025.03.28 |
2025년 커피 가격 인상, 스타벅스를 포함해서 줄줄이... (6) | 2025.03.26 |
정치 불안이 부른 환율 대폭등! 원·달러 1480원 돌파 임박? (1) | 2025.03.25 |